개발자 (Developer)/백 엔드 (Back-End)

백 엔드 구축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하기)

하늬아시 2023. 4. 3. 18:52

리눅스 우분투에서 백 엔드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미 호스트 OS는 윈도우10입니다.

그럼 Virtual Machine (가상 머신)이 필요하겠죠?

버추얼머신은 VirtualBox와 VMware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두개 다 개인취향대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저는 버추얼박스로 처음에 배워서 버추얼박스를 사용하겠습니다.

 

셋팅 시작은 버추얼박스와 우분투를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버추얼박스는 https://www.virtualbox.org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우분투는 https://ubuntu.com/download에서 Ubuntu Desktop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저는 해킹 공부를 위해 서버를 구축하고 웹사이트를 만들어서 해킹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의 보안을 위해 제 블로그에 올라온 모든 링크는 클릭하지 마시고 왠만하면 구글에 검색해서 찾아서 해당 웹사이트 방문하시는 습관을 가지세요.


두 개 다 다운 받으셨으면 버추얼박스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 설치하셨으면 새로 만들기를 클릭해서 가상머신 하나 만들어주세요.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실텐데요.

여기서 이름을 영어로 우분투라 적으면 "종류", "버전"탭에서 자동으로 리눅스와 우분투로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다음 눌러서 기본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개인의 컴퓨터 사양에 맞춰서 초록색 선 안쪽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최소로는 기본 메모리는 2048 (2GB)이상으로 해주시고, 프로세서는 CPU 1코어가 최소라 1코어 이상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다음 눌러서 하드디스크 용량 셋팅이 있는데 저는 25GB로 했습니다.

 

 

이제 설정을 다 하셨으면 해당 가상머신 설정을 클릭하시고

1. 저장소 클릭

2. 컨트롤러: IDE 아래 비어있음 클릭

3. 광학 드라이버 오른쪽 파랑색 디스크 클릭

4. 디스크 파일 선택 클릭해서 아까 우분투 다운 받았던 파일 선택

5. 다시 3번에 클릭한 파랑색 디스크 클릭하면 다운받으신 우분투 파일 (ubuntu-버전-desktop-amd64.iso) 버튼이 생겼을겁니다. 그거 클릭하시면 이제 해당 가상머신은 우분투로 시작하실 수 있으십니다.


자 이제 리눅스 셋팅이 됐으니 실행 시켜봅시다.

처음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요상한 화면이 뜨는데 그냥 엔터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한국어 눌러주시고 Ubuntu 설치 클릭해주세요.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버추얼머신 처음 우분투를 설치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근데 "끝내기", "뒤로가기", "계속하기"버튼이 해상도가 800 x 600으로 고정되어 있어 가려져서 안 보입니다.

이럴땐 "Tab"키를 사용해서 다음 컨퍼런트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키보드 입력 테스트 하는 곳을 클릭하고 "Tab"키를 4번 클릭하면 "계속하기" 버튼으로 컨퍼런트가 이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다음 셋팅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음 셋팅들은 "업데이트 및 기타 소프트웨어"가 있는데 저는 여기서 최소 설치만 체크해주고 "Shift + Tab"을 누르면 컨퍼런트가 뒤로 이동하게 됩니다. "Shift + Tab"을 이용해 안보이지만 "계속하기" 클릭해줍시다.

"설치 형식", "거주지"는 "Shift + Tab"을 사용해 넘겨주고 "당신을 누구십니까?"에서 이름, 암호 등 입력하신 후에 "이름" 입력창을 클릭 한번 하시고 "Shift + Tab"을 이용해 "계속하기"를 클릭해주면 이제 우분투 설치를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설치를 마무리 하면 "지금 다시 시작"이라는 버튼이 뜹니다. 다시 시작해주시면 됩니다.

 

우분투를 다시 시작하셨으면 이제 우분투 설치는 다 됐지만 해상도 문제가 아직 해결이 안됐어요. 그래서 해상도 셋팅을 해줘야합니다. 가상머신 좌상단 탭 중에 "장치"탭이 있습니다. 

 

 

장치 탭에서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을 클릭해주시면 아래 사진과 같이 "VBox_~~~" 생깁니다.

VBox를 클릭하면 해당 CD 안에 있는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 "autorun.sh"을 우클릭하고 "프로그램으로 실행"을 클릭하면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뜹니다. 입력해주고 기다리면 터미널에 "Press Return to close this window"라는 문구가 출력이 되면 엔터를 눌르면 터미널이 꺼집니다.

그리고 우분투를 재부팅 하면 이제 해상도 조절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재부팅하셨으면 아까처럼 좌상단에 있는 가상머신 탭 중에 "보기"탭 -  "가상 화면"에 마우스를 올려두면 해상도 조절하는 부분 락이 풀려서 클릭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1280 x 720으로 변경해서 사용 중입니다.

 


마치며

우분투 설치야 구글링이나 유튜브에도 자료가 많아서 쉬울 겁니다.

저랑 같이 강의 듣는 학생 분은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 설치 도중 오류가 난다고 하네요.

VMware가 해상도 문제나 설치 부분에서 오류 없이 깔끔하다고 하니 VMware 사용하는 것도 괜찮겠네요.

아무래도 그냥 실습만 하면 빨리 빨리 진행이 가능하겠지만 블로그를 같이 작성하다보니 시간이 두배로 느는 것 같네요ㅎ

나중에 또 가상머신 설치할 일 있으면 저도 이거 보면서 할 수 있어 나쁘지 않은 것 같아요.

다음은 게시글은 아마? APM 설치를 할 것 같네요.

 

벚꽃이 졌네요. 요즘 일교차가 감기 조심하세요.